회원가입
    회원 및 회비관리
    도서목록 및 구입
    공지사항
    정보
    포토앨범
    자유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정보

총 게시물 64건, 최근 0 건 안내 글쓰기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영화로 배우는 심리학 <영화 ‘피아노’ 마음의 구조 모델론>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15648
영화로 배우는 심리학 <영화 ‘피아노’ 마음의 구조 모델론>

제인 켐피온 감독의 <피아노>는 보는 사람에 따라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지만, 각 배역을 자아, 초자아, 이드의 역할과 대비하여 구조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김상준 저. 프로이트와 영화를 본다면 中 피아노

① <피아노> 속 이드(원초아)
- 성질이 매우 역동적이고 폭발적인 잠재력을 갖고 있는 이드는 영화 속에서 피아노
- 피아노는 아다의 억압되었던 본능이 살아나는 정도를 연주되는 건반의 숫자가 증가되는 것으로써 표현
- 아다의 본능이 눈을 뜨게 되는 계기가 된 베인스와의 만남을 주선하는 연결 고리 역할

② <피아노> 속 자아
- 자아는 이드와 초자아 간의 갈등을 적극적으로 중재하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그들의 싸움을 숨죽이며 지켜보는 아다 자신

③ <피아노> 속 초자아
- 아다와 베인스가 만나는 것을 감시하며 그 위험성을 경고하는 딸 프롤라와 불륜의 아내를 처벌하는 남편 스튜어트가 역할을 분담

④ <피아노> 속 마음의 구조모델론
- 피아노는 나무궤짝 속에 넣어져 아다와 함께 해변가에 도착
- 이드가 초자아의 위세에 눌려 궤짝에 담겨져 있듯이 자아도 힘을 잃고 있는 것, 자아인 아다는 검은 색 옷을 입고 등장
- 성불구자에 가까운 스튜어트는 초자아의 일부로서 아다가 가져온 피아노를 집안으로 들여놓지 않고 해변가에 방치
- 피아노는 베인스의 집으로 옮겨짐. 베인스의 원시적이며 성적인 자극은 이드의 잠을 깨우고 피아노를 둘러싼 초자아의 벽을 조금씩 무너뜨림
- 딸 프롤라는 초자아의 기능 중 자아의 행동에 대한 신임이나 불신임, 비판적인 자기 관찰, 자아가 참회 또는 회개하도록 요구하거나 잘못된 행동에 대한 수정을 요구하는 역할
- 남편 스튜어트는 처벌의 기능
- 프롤라는 감시자로서의 초자아 역할을 하는데 베인스와 아다의 이상스런 피아노 교습 장면을 목격하며 어머니가 베인스의 집으로 가는 것을 보고 경고를 보냄.
- 억압을 벗어버린 이드는 이미 엄청나게 속도가 붙어버린 자신의 행위를 제어하지 못하며 아다는 이드의 한 부분인 피아노의 건반에 사랑의 전갈을 적어 보냄.
- 프롤라는 베인스에게 갖다 주라는 아다의 말을 무시하고 스튜어트에게 피아노 간반을 넘겨 줌. 처벌자의 역할을 맡은 스튜어트는 아다의 손가락을 도끼로 잘라 버림.
- 아다가 떠나는 배 위에서 피아노를 물 속으로 밀어 넣는 장면. 이드가 가고 있는 길은 깊은 물속, 그곳은 죽음이나 파괴 또는 미지의 두려움을 상징. 자아는 이드와의 동행을 거부하고 밧줄을 풀고 물 밖으로 나옴.
- 영화의 마지막 장면. 아다가 피아노를 연주. 잘려나간 손가락에는 금속제의 대용물이 끼워져 있음. 금속물로 상징되는 차갑고 이성적인 면이 잘라진 이드를 대신하고 있듯이 이제 이드는 힘을 잃었음. 보조물이란 아무리 기능이 뛰어나도 원래 타고난 자신의 기능을 대신할 수는 없듯이 아무리 노력해도 예전의 아름다운 소리는 낼 수 없음.

hi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QR CODE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