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치료의 과정
1) 치료의 목표
애드러학파의 상담이론은 내담자와 상담자 간이 상호계약과 협동이라는 가정에 근거한다. 일반적으로 계약이란 잘못된 목표나 가정을 확인하고 탐색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 탐색 후에는 건설적인 목표를 향한 내담자의 재교육이 따른다. 치료의 기본 목표는 내담자의 사회적 관심, 즉 잘못된 사회적 가치를 바꾸는 것이다. 애드러학파는 행도수정보다 동기수정(motivation modification)에 보다 관시을 갖는다. 즉 그들은 기본적인 삶의 전제들, 즉 생의 목표나 기본 개념드에 도전하려고 한다. 그들은 단순한 중상제거에 별로 관심을 갖지 않는다.
상담과정은 정보제공, 교시, 안내, 격려 등에 초점을 둔다. 그들은 내담자를 "병든"존재나 "치료디어야 할 "존재로 보지 않는다. 그것보다는 사회에서 동등하게 즉 다른 사람과 주고 받을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재교육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Mosak, 1984).
치료의 교육적 과정에서 내담자는 자기에 대한 관심과 사회에대한 관심에 기초해서 삶의 목표를 자유롭게 추구한다. 모삭(1984)은 이 과정의 목표로서 다음과같은 목록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적 관심을 기르기
․패배감을 극복하고 열등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담자를 돕기
․내담자의 관점과 목표, 즉 생애유형을 수정하기
․잘못된 동기를 바꾸기.
․내담자가 다른 사람과 동등한 감정을 갖도록 돕기.
․사회의 구성원으로 기여하도록 돕기
내담자의 재교육에 관한 일반적 목표에 덧붙여 사회적 관시에 기초된 가치를 얻게 하기 위해 드레이커스(1967)는 치료과정의 네 가지 목표를 확인하고 있는데 이것들은 치료의 네 가지 측면에 부합된다. 이것은 이 장의 뒷 부분에서 자세히 논의된다. 이것들은 다음과 같다.
① 바람직한 내담자-치료자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기.
② 생애유형과 목표 그리고 이 요소들이 개인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포함해서 내담자의 역동성을 확인하기.
③ 통찰로 이끄는 해석을 제공하기
④ 제정립을 성취하고 이해한 것을 행동으로 옮기기.
2) 치료자의 기능과 역할
애들러학파의 사람들은 기법의 "정확성"에 얽매이지 않는다. 그들은 때로는 절충적이되며 기법을 다양하게 구사한다. 그들의 기법은 개인심리학의 기본 개념들에 일치하지만 내담자 개개인에게 맞추어 적용한다.
애들러학파의 치료자드은 치료의 인지적 측면에 초점을 둔다. 그들은 내담자는 그릇된 인지(신념이나 목표들) 때문에 행동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정서적으로 침체되어 있다고 인식한다. 그들은 내담자가 기분좋게 느끼고 효율적으로 행동하기 위해서는 그릇된 신념이 무엇인지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가정하에 작업한다. 치료자들은 사회에서의 중요한 잘못을 찾으며 잘못된 신념, 이기중의 비현실적 욕망, 신뢰성의 부족 등을 중시한다.
치료자의 주기능은 진단자로서의 기능이다. 치료자는 내담자의 가족내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모은다. 이때 설문지를 사용하는데 이것을 통해 개인의 어린 시절의 환경을 요약하고 해석한다. 정보로부터 치료자는 내다자의 실패나 성공의 영역에 대해 전망할 수 있고 내담자가 세상에 대해 갖고 있는 자기역하에 대한 가정이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된다. 치료자는 또한 진단도구로서 아동기의 회상(early recollection)을 사용하는데 이 기억들은 개인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어떻게 보고 있으며 미래에 기대하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간결한 모습을 제공해 ws다. 이런 아동기의 회상이 요약되고 해석되면 치료자는 내담자 생에서의 주요한 잘못을 확인한다. 이렇게 하는 목적은 치료적인 모험을 시작하는 관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진단평가를 하여 요약함으로써 치료자는 다음과 같은 일을 한다. 즉 가족내에서의 위치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문제를 추출해서 내담자의 기본 성격의 모습을 얻는다. 초기의 회상을 해석함으로써 현재의 내담자의인생에 대한 조망을 얻는다. 내담자의 인생관은 현재의 신념과 사회적 관심을 비교하므로써 확인한다. 이것이 완성되면 치료자와 내담자는 치료를 위한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